1. 새로운 Repositories를 생성합니다.
Repository name 입력 -> Create Repository 클릭
README, gitignore, license 등은 본인이 필요에 따라 생성하시면 됩니다.
README를 생성하시면 main 브랜치가 생성되기 때문에 commit 할 때, MASTER 브랜치가 새로 생성 될 수 있습니다.따라서, 깃에 아직 익숙하지 않으시다면 README를 생성하시지 않는 걸 추천 드립니다.
2. 만들어진 Spring Boot Project를 엽니다.
VCS -> Create Git Repository... -> 디렉터리 창이 열리면 OK
위와 같이 하시면 아직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되지 않은 파일 들이 빨간색으로 표시됩니다.
3. 원격 저장소와 연결
VCS -> Manage Remotes... 클릭
+버튼을 눌려 미리 만들어 놓은 저장소의 주소를 복사하여 붙혀 넣어줍니다.
3. 원격 저장소에 파일 commit & push
Git -> Commit...
아직 스테이지 밖에 있는 파일들을 모두 commit 해줍니다.
warnig이 뜨실 경우 무시하시고 커밋 후 브랜치를 맞춰주면 됩니다.
Git -> Push...
권한이 없으시다면 로그인 후 권한을 부여해주면 됩니다.
다시 깃허브를 보시면 성공적으로 푸시가 된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
'프로그래밍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 boot] Intellij 깃허브(GitHub) 연동_2 (0) | 2022.12.13 |
---|---|
[SPRING] MVC 구조 이해 (0) | 2022.12.13 |
웹 애플리캐이션 (1) | 2022.11.30 |
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 (2) | 2022.10.07 |
스프링 핵심 원리 - 스프링 핵심 원리 이해 (0) | 2022.10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