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4502
14502번: 연구소
인체에 치명적인 바이러스를 연구하던 연구소에서 바이러스가 유출되었다. 다행히 바이러스는 아직 퍼지지 않았고,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 연구소에 벽을 세우려고 한다. 연구소는 크기가 N×M인 직사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, 직사각형은 1×1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다. 연구소는 빈 칸, 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, 벽은 칸 하나를 가득 차지한다. 일부 칸은 바이러스가 존재하며, 이 바이러스는 상하좌우로 인접한 빈 칸으로 모두 퍼져나갈 수 있다.
www.acmicpc.net
[문제 풀이]
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문제를 풀었습니다.
시뮬레이션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BFS와 조합이 쓰였습니다. 이 문제의 경우 연구소를 2차원 배열의 형태로 주고 벽을 3개 세운 뒤, 바이러스가 퍼질 수 없는 곳을 안전 영역이라 하고, 안전 영역의 최대값을 구하는 문제였습니다.
먼저 벽 3개를 세우기 위해 조합을 이용하여 3개의 벽을 세울 수 있는 모든 경우를 찾은 후 BFS를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퍼뜨려 주었습니다. 퍼뜨릴 때마다 영역의 값을 구한 후 최대인 경우를 찾았습니다.
[코드]
#include<iostream>
#include<queue>
#include<vector>
using namespace std;
int N, M;
int result = 0;
queue<pair<int, int>> que;
vector<pair<int, int>> virus;
int map[8][8];
int check[8][8];
int visit[8][8] = { 0, };
int dx[4] = { -1, 0, 1 ,0 };
int dy[4] = { 0, 1 , 0, -1 };
void combination(int, int, int);
void bfs();
void mapCopy();
void insertQueue();
void score();
int main() {
scanf("%d %d", &N, &M)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for (int j = 0; j < M; j++) {
int temp;
scanf("%d", &temp);
map[i][j] = temp;
if (temp == 2)
virus.push_back(make_pair(i, j));
}
}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for (int j = 0; j < M; j++) {
if (map[i][j] == 0) {
map[i][j] = 1;
combination(i, j, 1);
map[i][j] = 0;
}
}
}
printf("%d\n", result);
}
void combination(int idx, int jdx, int cnt) {
if (cnt == 3) {
insertQueue();
mapCopy();
bfs();
return;
}
for (int i = idx; i < N; i++) {
for(int j = 0; j < M; j++){
if (map[i][j] == 0) {
map[i][j] = 1;
combination(i, j, cnt + 1);
map[i][j] = 0;
}
}
}
}
void insertQueue() {
for (int i = 0; i < virus.size(); i++)
que.push(make_pair(virus[i].first, virus[i].second));
}
void score() {
int temp = 0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for (int j = 0; j < M; j++) {
if (check[i][j] == 0)
temp++;
}
}
if (temp > result)
result = temp;
}
void mapCopy() {
for (int i = 0; i < N; i++)
for (int j = 0; j < M; j++)
check[i][j] = map[i][j];
}
void bfs() {
for (int i = 0; i < N; i++)
for (int j = 0; j < M; j++)
visit[i][j] = 0;
while (!que.empty()) {
int x = que.front().first;
int y = que.front().second;
visit[x][y] = 1;
for (int i = 0; i < 4; i++) {
int nx = x + dx[i];
int ny = y + dy[i];
if (nx < 0 || ny < 0 || nx >= N || ny >= M || visit[nx][ny] == 1 || check[nx][ny] == 1 || check[nx][ny] == 2)
continue;
check[nx][ny] = 2;
visit[nx][ny] = 1;
que.push(make_pair(nx, ny));
}
que.pop();
}
score();
}
'algorithm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14500_테트로미노(C++) (2) | 2020.04.29 |
---|---|
백준 11053_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(C++) (0) | 2020.04.28 |
백준 16236_아기 상어(C++) (0) | 2020.04.24 |
백준 15684_사다리 조작(C++) (0) | 2020.04.23 |
백준 15686_치킨 배달(C++) (2) | 2020.04.21 |